혜존(惠存)에 대한 바른 뜻

 

이 말은 원래 책을 받는 사람이 이 책을 받는 것이 은혜로워

잘 보존하겠다는 뜻으로 수차책. 위감혜. 고보존이중.(受此冊 爲感惠 故保存以重)이라,

즉, 우리 선비들이 오래전부터 써 왔던 말로써 책을 받는 사람이

귀한 책을 주셨으므로 잘 읽고 보존하겠다는 뜻으로 쓰였던 것이다.

 

이렇게 좋은 말이었는데 일제강점기에 우리말 말살정책으로 일본사람들이

“이 책을 드리오니 잘 보존해주시면 감사하겠다.”는

일본말 혜존으로 그 뜻이 거꾸로 바꿔 버렸다.

 

자기가 쓴 책을 잘 보존해달라는 것은 우리 정서상으로는 말도 안 되는 말이다.

그 뜻을 아는지 모르는지 요즘 젊은 지성인들이 논문집과 선물하는

책의 첫 장에 혜존을 남발하고 있으니 한심한 일이다.

 

우리말로 “000선생님께 드립니다”하면 될 것을

어슬프게 문자쓰다 반풍수 집구석 망하는 꼴이다.

굳이 문자를 쓰고 싶다면 옛날부터 조상들이 사용한 좋은 말이 있다.

 

스승이나 윗사람에게는 감하(鑑下)라 하여

거울 같이 맑은 눈으로 쭉 살펴보시고 좋은 가르침을 내려달라는 뜻이다.

또 비슷한 또래나 조금 선배일 경우에는 청람(淸覽)이라 하여

맑은 눈으로 한번 읽어 주시라는 뜻이다.

 

아랫사람에게는 일람(一覽)이라 하여 별것 아니지만 한번 읽어주게나 라는 뜻이다.

얼마나 아름답고 겸손한 말이 아닌가?

뜻 과 유래를 제대로 모르고 일본인들이 뜻을 왜곡한

"혜존( 惠存)을 남발하는 것은 정말 유감이다



 


 

◎有用한 生活常識 과 生活禮節 

 生活禮節  

 生活常識
 
 
 

 

 

 

묵은 쌀 냄새를 제거 할려면
밥의 탄 냄새를 제거 할려면
김을 맛있게 구우려면
구운 김 보관법은
눅눅한 김을 바삭하게 할려면
빨래 삶을 때 넘치지 않게 할려면
빨래줄 자국 나지 않게 하려면
비누를 절약하려면
가죽 옷이 오틀도틀한 곳에 긁혔을 때
신발 속의 악취제거
양복 바지를 가방에 넣을 때

임차인이 행방불명된 경우 
마늘먹은 뒤 냄새 없애려면
전화기의 버튼 사이사이 먼지제거
 
국수를 쫄깃쫄깃하게 삶기
튀김을 바삭하게 튀기기
생선찌게를 맛있게 끓이는 법
면의 바랜색 되살리기
생선 비린내를 없앨려면 
작은 물건 찾을 때
냉장고.세탁기의 도장이 벗겨졌다면 
녹슬은 우산 녹 제거 방법 
달걀 안깨지게 삶으려면? 
대문 혹은 벽에 상표 떼는법 
마요네즈가 묻은 그릇은 
먼지 잔뜩 낀 조화 청소 
바나나의 잘린 면에는 레몬즙을 

냉동실의 성에 제거는
연필심으로 자물쇠를 부드럽게
샐러드의 물기를 없앨려면 

물주전자의 물 때 제거법

 바지단 자국을  없애려면
기름이 밖으로 안 튀기게 할려면
양파 썰때 눈이 맵지 않게 하려면 
멸치국물을 맛내려면
코카콜라의 다양한 용도 
서양정식에 대한 상식
스테이크 먹는 상식 
커피에 대한 상식
와인에 대한 상식
과일을 깨끗이 씻으려면
나물,채소에 있는 농약없애는 법
과자의 눅눅함 방지하기..
고추가루 빛깔 곱게 내려면
쌀통에 쌀벌레 없애기
우유냄새를 없애려면
질긴고기 연하게 하려면..

찬밥을 새로지은 밥처럼 할려면
냄새나는 밀폐용기 냄새 퇴치요령
자동차상식 전반 소개(45가지)

    


 


 
     
 
 
 
 
 

 

 
 
 

 

 生活常識

 

★..각종 얼룩 제거하 는 法. . . .. . ..

 

 

★..대집꾸밈 요령

 

 

 

★..알아두면 편리識한 생활의 지혜

 

 

 

 

 

 

 

 

 

 

 

묵은 쌀 냄새를 제거 할려면
밥의 탄 냄새를 제거 할려면
김을 맛있게 구우려면
구운 김 보관법은
눅눅한 김을 바삭하게 할려면
빨래 삶을 때 넘치지 않게 할려면
빨래줄 자국 나지 않게 하려면
비누를 절약하려면
가죽 옷이 오틀도틀한 곳에 긁혔을 때
신발 속의 악취제거
양복 바지를 가방에 넣을 때

임차인이 행방불명된 경우 
마늘먹은 뒤 냄새 없애려면
전화기의 버튼 사이사이 먼지제거
 
국수를 쫄깃쫄깃하게 삶기
튀김을 바삭하게 튀기기
생선찌게를 맛있게 끓이는 법
면의 바랜색 되살리기
생선 비린내를 없앨려면 
작은 물건 찾을 때
냉장고.세탁기의 도장이 벗겨졌다면 
녹슬은 우산 녹 제거 방법 
달걀 안깨지게 삶으려면? 
대문 혹은 벽에 상표 떼는법 
마요네즈가 묻은 그릇은 
먼지 잔뜩 낀 조화 청소 
바나나의 잘린 면에는 레몬즙을 

냉동실의 성에 제거는
연필심으로 자물쇠를 부드럽게
샐러드의 물기를 없앨려면 

물주전자의 물 때 제거법

 바지단 자국을  없애려면
기름이 밖으로 안 튀기게 할려면
양파 썰때 눈이 맵지 않게 하려면 
멸치국물을 맛내려면
코카콜라의 다양한 용도 
서양정식에 대한 상식
스테이크 먹는 상식 
커피에 대한 상식
와인에 대한 상식
과일을 깨끗이 씻으려면
나물,채소에 있는 농약없애는 법
과자의 눅눅함 방지하기..
고추가루 빛깔 곱게 내려면
쌀통에 쌀벌레 없애기
우유냄새를 없애려면
질긴고기 연하게 하려면..

찬밥을 새로지은 밥처럼 할려면
냄새나는 밀폐용기 냄새 퇴치요령
자동차상식 전반 소개(45가지)

    


 


 

★..숙취 제거하는 法. . . .  . ...

 

★..實생활에서 변비예방法.. . . . . . ./ . .

 

 

 

 

     

 

 

 

 

★..신선한 식품 보관법  . .  . . .
 

 

 

 

★..에티켓(일상생활&外國人접대時).. .

 

 

 

 

 
 

 

 

 
 
 

 

 

 

★..우리 서민들의 건강    관리에 대한 상식
 

 

 

 
 
 

 

 

★..나이스피아닷컴의    서민 생활정보...
메인홈에    있습니다..

 

 

 

 

 

출처 : 주례웨딩협회
글쓴이 : 선광 원글보기
메모 :

3. 친족의 호칭

가. 자기에 대한 호칭

  • 저·제 : 웃어른이나 여러 사람에게 말할 때.
  • 나 : 같은 또래나 아랫사람에게 말할 때
  • 우리· 저희 : 자기쪽을 남에게 말할 때

나. 부모에 대한 호칭

가) 아버지

  • 아버지 : 자기 아버지를 직접 부를 때와 남에게 말할 때
  • 아버님 : 남편의 아버지를 직접 부를 때와 남에게 그 아버지를 말할 때
  • 애비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그 아버지를 말할 때, 또는 아버지가 아들에게 자기를 말할 때
  • 아빠 : 말을 배우는 어린이(초등학교 취학 전)가 아버지를 부를 때
  • 어르신네 : 남에게 그 아버지를 말할 때
  • 가친(家親) : 남에게 자기의 아버지를 말할 때
  • 춘부장(春府丈) : 남에게 그 아버지를 말할 때
  • 현고(顯考) : 축문이나 지방에 자기의 죽은 아버지를 쓸 때
  • 선고ㅗ선친(先考ㅗ先親) : 자기의 죽은 아버지를 남에게 말할 때
  • 선대인ㅗ선고장(先大人ㅗ先考丈) : 남에게 그의 죽은 아버지를 말할 때

나) 어머니

  • 어머니 : 자기의 어머니를 직접 부를 때와 남에게 말할 때
  • 어머님 : 남편의 어머니를 직접 부를 때와 남에게 그 어머니를 말할 때
  • 에미 :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그 어머니를 말할 때, 또는 어머니가 아들에게 자기를 말할 때
  • 엄마 : 말을 배우는 어린이(초등학교 취학 전)가 어머니를 말할 때
  • 자친(慈親) : 남에게 자기의 어머니를 말할 때
  • 자당(慈堂) : 남에게 그 어머니를 말할 때
  • 현비(顯?) : 축문이나 지방에 자기의 죽은 어머니를 쓸 때
  • 선비(先?) : 자기의 죽은 어머니를 남에게 말할 때
  • 선대부인(先大夫人)ㆍ선모당(先慕堂) : 남에게 그의 죽은 어머니를 말할 때

다. 조부모에 대한 호칭

가) 할아버지

  • 할아버지 : 자기의 할아버지를 직접 부를 때와 남에게 말할 때
  • 할아버님 : 남편의 할아버지를 직접 부를 때와 남에게 그 할아버지를 말할 때
  • 할애비 : 할아버지가 손자에게 자기를 말할 때
  • 조부(祖父) : 남에게 자기의 할아버지를 말할 때
  • 조부장(祖父丈) : 남에게 그 할아버지를 말할 때
  • 현조고(顯祖考) : 축문이나 지방에 자기의 죽은 할아버지를 남에게 말할 때
  • 조고(祖考)·선조고(先祖考) : 자기의 죽은 할아버지를 남에게 말할 때
  • 왕고장(王考丈) : 남에게 그의 죽은 할아버지를 말할 때

나) 할머니

  • 할머니 : 자기의 할머니를 직접 부를 때와 남에게 말할 때
  • 할머님 : 남편의 할머니를 직접 부를 때와 남에게 그 할머니를 말할 때, 또는 자기의 할머니에게 편지를 쓸 때
  • 할미 : 할머니가 손자에게 자기를 말할 때
  • 조모(祖母) : 남에게 자기의 할머니를 말할 때
  • 조모(祖母)님 : 남에게 그 할머니를 말할 때
  • 현조비 : 축문이나 지방에 자기의 죽은 할머니를 쓸 때
  • 선조비 : 자기의 돌아가신 할머니를 남에게 말할 때
  • 선왕대부인(先王大夫人) : 남에게 그의 죽은 할머니를 말할 때

라. 부부에 대한 호칭

부부간의 호칭은 사람을 말하는 대인칭(對人稱)보다 거처하는 곳으로 말하는 거처칭(處稱)의 경우가 더 많다.

가) 남편

  • 여보 : 직접 부를 때("여기 보세요."의 준말)
  • 당신 : 부부간의 대화 중에 남편을 지칭하는 말('자기 스스로'라는 말)
  • 사랑 : 시댁에서 남편의 어른에게나 여자 동서간에게 남편을 말할 때("사랑방에 거처하는 사람"이라는 뜻)
  • 서방 : 친정의 자기의 어른에게 남편을 말할 때
  • 남편 : 친척이 아닌 남에게 남편을 말할 때
  • 주인·바깥양반·주인양반 : 모르는 남에게 남편을 말할 때 상대에 따라 골라 쓴다
  • 상대가 부르는 호칭 : 남편이나 자기의 아랫사람에게 남편을 말할 때는 그들이 부르는 호칭으로 말한다(예: 시동생에게는 '형님', 남편의 제자에게는 '선생님')
  • 애비 : 자녀를 둔 경우 어른에게 말할 때 쓰기도 한다.
  • 주인어른·바깥어른·주인양반·바깥양반·부군(夫君) : 남에게 그의 남편을 말할 때 상대에 따라 골라 쓴다.
  • 현벽 : 죽은 남편을 축문이나 지방에 쓸 때
  • 나·아내 : 남편에게 아내가 자기를 말할 때

나) 아내

  • 여보 : 직접 부를 때
  • 당신 : 대화 중에 아내를 지칭할 때
  • 제댁 : 부모나 장인 장모와 같이 높은 어른에게 아내를 말할 때('저의 집'이라는 뜻)
  • 안 : 같은 서열이나 위계의 연장자나 제수에게 자기의 아내를 말할 때('안방에 거처하는 사람'이라는 뜻)
  • 아내 : 친척이 아닌 남에게 아내를 말할 때
  • 내자(內子)·안사람·안주인 : 남에게 자기의 아내를 말할 때
  • 상대가 부르는 호칭 : 아내나 자기의 아랫사람에게 아내를 말할 때는 그들이 부르는 호칭으로 말한다.
    (예: 자녀에게는 '어머니', 동생에게는 '너의 형수')
  • 에미 : 자녀를 둔 경우 어른에게 말할 때 쓰기도 한다.
  • 부인(夫人)·영부인(令夫人) : 남에게 그 아내를 말할 때, 부인은 자기의 아내를 직접 부를 때도 쓴다.
  • 안양반·안어른 : 모르는 사람에게 그 아내를 말할 때
  • 망실·고실(亡室·故室) : 죽은 아내를 축문이나 지방에 쓸 때
  • 나·남편 : 아내에게 남편이 자기를 말할 때

마. 형제자매에 대한 호칭

가) 형제자매

  • 언니 : 미혼의 남자가 형을 직접 부를 때와 자매간에 동생이 형을 직접 부를 때(차례가 있으면 '큰' ' -째'를 붙인다.
  • 형님 : 성년의 남자가 형을 직접 부를 때와 기혼의 여자가 형을 직접 부를 때(차례가 있으면 '큰' '-째'를 붙인다.
  • 얘· 이름· 너 : 미혼이나 10년 이상 연하인 동생을 부를 때.
  • 동생· 자네· 이름 : 기혼이나 10년 이내 연하인 동생을 부를 때.
  • 아우 : 동생의 배우자나 남에게 자기의 동생을 말할 때.
  • 아우님· 제씨 : 남에게 그 동생을 말할 때.
  • 에미 : 집안의 어른에게 자녀를 둔 여동생을 말할 때.
  • 오빠 : 미혼 여동생이 남자형을 부를 때.
  • 오라버님 : 기혼 여동생이 남자형을 부를 때.
  • 오라비 : 여동생이 집안 어른에게 남자형을 말할 때.
  • 누나 : 미혼의 남동생이 손위 누이를 부를 때
  • 누님 : 성년의 남동생이 손위 누이를 부를 때
  • -실·-집 : 기혼의 누이동생을 오빠가 부를 때 남편의 성을 붙인다.
  • 사백·사중·사형(舍伯·舍仲·舍兄) : 자기의 형을 남에게 말할 때(伯은 큰, 仲은 둘째의 뜻임
  • 백씨장·중씨장·영형장 : 남에게 그 형을 말할 때
  • 선백형·선중형·선형씨(先佰兄·先仲兄ㅗ先兄氏) : 자기의 죽은 형을 남에게 말할 때
  • 선백씨장·선중씨장·선형장 : 남에게 그 죽은 형을 말할 때
  • 영자씨·영매씨(令姉氏ㅗ令妹氏) : 남에게 그 누님이나 누이를 말할 때
  • 아우·동생·누이 : 남에게 자기의 동생이나 누이동생을 말할 때
  • 중제·사제·사매(仲弟ㅗ舍弟ㅗ舍妹) : 남에게 자기 동생을 말할 때( 중제는 큰형이 둘째 동생을 말할 때)
  • 제씨·매씨·영매씨(弟氏ㅗ妹氏ㅗ令妹氏) : 남에게 그 동생이나 누이 동생을 말할 때

나) 형제자매의 배우자

  • 아주머니· 형수님 : 시동생이 형의 아내를 부를 때.
  • 아주미· 아지미· 형수 : 집안 어른에게 형수를 말할 때.
  • 형수씨 : 남에게 자기의 형수를 말할 때.
  • 제수씨 : 동생의 아내를 직접 부를 때.
  • 제수 : 집안 어른에게 동생의 아내를 말할 때.
  • 언니 : 시누이가 오라비의 아내를 부를 때.
  • 올케· 새댁· 자네 : 시누이가 남동생의 아내를 부를 때.
  • 댁 : 집안 어른에게 남동생의 아내를 말할 때.
  • 매부 : 누님의 남편을 부를 때와 자매의 남편을 남에게 말할 때.
  • 자형· 매형 : 누님의 남편을 부를 때와 남에게 말할 때.
  • 서방· 자네 : 누이동생의 남편을 부를 때.
  • 매제 : 누이동생의 남편을 남에게 말할 때.
  • 형부 : 여동생이 여자형의 남편을 부를 때와 말할 때.
  • 서방 : 여자형이 여동생의 남편을 부를 때.

바. 자손에 대한 호칭

가) 아들·딸

  • 자식·여식(子息·女息)·아이 : 아들과 딸보다 윗사람에게 자기의 자녀를 말할 때
  • 아들·딸 : 자기의 자녀보다 아랫사람에게 자기의 자녀를 말할 때
  • 아드님·따님 : 남에게 그 자녀를 말할 때
  • 자제·영식(子弟·令息)·영애(令愛) : 남에게 그 자녀를 말할 때
  • -실·-집 : 시집간 딸을 남편의 성을 붙여 부른다.

나) 손자와 손녀

  • 손자ㆍ손녀ㆍ손자아이ㆍ손녀아이 : 자기의 손자나 손녀를 남에게 말할 때
  • 손주님ㆍ영손ㆍ영포(令孫ㆍ令抱) : 남에게 그 손자 손녀를 말할 때

사. 아버지의 형제에 대한 호칭

  • 큰아버지·둘째 아버지·작은아버지 : 아버지의 큰형·둘째 형제·막내 동생을 부를 때
  • 아저씨 : 아버지의 미혼인 동생
  • 백부·중부·숙부·계부(伯·仲·叔·季父) : 남에게 자기의 백숙부를 말할 때(叔은 셋째 이하이고, 季는 막내임)
  • 백부장(丈)·중부장·숙부장·계부장·완장(阮丈) : 남에게 그의 백숙부를 말할 때('완장'은 통털어서 쓰임)
  • 선백부·선백부장(先伯父·先伯父丈) : 자기나 남의 죽은 백숙부는 살아 있는 백숙부의 호칭에 '先'을 붙여서 말함.
  • 큰어머니·둘째 어머니·셋째 어머니·작은어머니 : 백숙모를 직접 부를 때(작은어머니는 막내에게만 쓴다.)
  • 백모·중모·숙모 : 남에게 자기의 백숙모를 말할 때
  • 존백모·존숙모(尊伯母·尊叔母) : 남에게 그의 백숙모를 말할 때
  • 선백모·선백모부인(先伯母·先伯母夫人) : 자기의 죽은 백숙모는 생전시의 칭호에 '先'자를 붙여서 남에게 말하고, 남의 죽은 백숙모는 생존시의 호칭 앞에 '先'을, 뒤에 '夫人'을 붙여서 말한다.
  • 큰아버님·둘째 아버님·숙부주(叔父主)·백모주(伯母主) : 편지에 쓸 때는 우리말 호칭에는 '님', 한문식에는 '主'를 붙여서 쓴다.

아. 기타 친척에 대한 호칭

가) 기타 8촌 이내의 근친

  • 고모·고모님·아주머니 : 아버지의 누이를 직접 부를 때
  • 외숙· 외숙모 : 어머니의 형제와 그 배우자를 부를 때
  • 이모· 이모부 : 어머니의 자매와 그 배우자를 부를 때
  • 아저씨 : 아버지의 4촌 이상 형제들을 부를 때(당숙·재종숙)
  • 아주머니 : 아저씨의 배우자나 아버지의 4촌 이상의 자매들을 부를 때(당숙모·재종숙모·당고모)
  • 언니·형님·누나·누님·-실·-집 : 4촌 이상의 형제자매간의 호칭(伯·仲·舍·季를 쓰지 않는다. )
  • 큰할아버지·-째 할아버지·큰할머니·-째 할머니 : 아버지의 백숙부모를 부를 때

나) 8촌이 넘는 일가의 호칭

  • 대부(大父)·대모(大母) : 할아버지와 할머니뻘 되는 어른을 부를 때
  • 아저씨 : 아버지의 형제가 되는 남자 어른을 부를 때
  • 아주머니 : 아버지의 자매나 아저씨의 배우자를 부를 때
  • 언니·형님·누나·누님 : 자기와 형제자매가 되는 사람을 부를 때


 

잘못읽기쉬운한자
/ / / / / / / / / / / /

- 參考- ( )틀린 讀音

1.ㄱ

苛斂가렴(가검)

恪別각별(격별)

角逐각축(각추)

間歇간헐(간갈)

艱難간난(가난)

干涉간섭(간보)

看做간주(간고)

甘蔗감자(감서)

降下강하(강하)

腔血강혈(공혈)

槪括개괄(개활)

改悛개전(개준)

坑夫갱부(항부)

更生갱생(경생)

醵出갹출(거출)

車馬거마(차마)

怯懦겁나(거유)

揭示게시(계시)

更張경장(갱장)

更迭경질(갱질)

譴責견책(유책)

驚蟄경칩(경첩)

膏盲고황(고맹)

滑稽골계(활계)

汨沒골몰(일몰)

誇張과장(오장)

刮目괄목(활목)

乖離괴리(승리)

攪亂교란(각란)

敎唆교사(교준)

交驩교환(교관)

口腔구강(구공)

句讀구두(구독)

口碑구비(구패)

拘碍구애(구득)

句節구절(귀절)

狗吠구폐(구견)

救恤구휼(구혈)

詭辯궤변(위변)

龜鑑귀감(구감)

龜裂균열(구열)

琴悉금실(금슬)

旗幟기치(기식)

奇恥기치(기심)

喫燃끽연(계연)

3.ㄴ

儺禮나례(난례)

懦弱나약(유약)

內人나인(내인)

拿捕나포(장포)

懶怠나태(뢰태)

烙印낙인(각인)

難澁난삽(난지)

捺印날인(나인)

捏造날조(열조)

拉致납치(입치)

狼藉낭자(낭적)

內帑내탕(내노)

鹿皮녹비(녹피)

壟斷농단(용단)

鹿茸녹용(녹이)

賂物뇌물(각물)

漏泄누설(누세)

訥言눌언(납언)

訥辨눌변(내변)

凜凜늠름(품품)

3.ㄷ

茶店다점(차점)

團欒단란(단락)

簞食단사(단식)

曇天담천(운천)

遝至답지(환지)

撞着당착(동착)

對峙대치(대지)

宅內댁내(택내)

陶冶도야(도치)

跳躍도약(조약)

瀆職독직(속직)

獨擅독천(독단)

鈍濁둔탁(돈탁)

屯困둔곤(돈곤)

遁走둔주(돈주)

4.ㅁ

滿腔만강(만공)

萬朶만타(만내)

罵倒매도(마도)

邁進매진(만진)

驀進맥진(막진)

盟誓맹서(맹세)

萌芽맹아(명아)

明晳명석(명철)

明澄명징(명증)

牡丹모란(목단)

牡牛모우(두우)

木瓜모과(목과)

木鐸목탁(목택)

夢寐몽매(몽침)

杳然묘연(향연)

巫羈무기(무현)

拇印무인(모인)

毋論무론(모론)

無聊무료(무류)

紊亂문란(사란)

5.ㅂ

撲殺박살(복살)

剝奪박탈(약탈)

撲滅박멸(복멸)

反駁반박(반교)

頒布반포(분포)

拔萃발췌(발취)

拔擢발탁(발요)

發揮발휘(발혼)

潑剌발랄(발자)

幇助방조(봉조)

妨碍방애(방의)

勃興발흥(역흥)

跋扈발호(발파)

拜謁배알(배갈)

範疇범주(범수)

兵站병참(병점)

報酬보수(보주)

布施보시(포시)

補塡보전(보진)

復活부활(복활)

敷衍부연(부행)

分泌분비(분필)

不朽불후(불구)

沸騰비등(불등)

否塞비색(부색)

頻數빈삭(보수)

嚬蹙빈축(빈촉)

憑藉빙자(빙적)

6.ㅅ

詐欺사기(언기)

使嗾사주(사족)

奢侈사치(사다)

娑婆사바(사파)

社稷사직(사목)

索莫삭막(색막)

索然삭여(색연)

撒布살포(산포)

三昧삼매(삼미)

上梓상재(상자)

相殺상쇄(상살)

數數삭삭(수수)

省略생략(성약)

棲息서식(처식)

逝去서거(절거)

先瑩선영(선형)

閃光섬광(염광)

星宿성수(성숙)

洗滌세척(세조)

蕭條소조(숙조)

遡及소급(삭급)

甦生소생(갱생)

騷擾소요(소우)

贖罪속죄(독죄)

殺到쇄도(살도)

戍樓수루(술루)

數爻수효(수차)

睡眠수면(수민)

竪說수설(견설)

示唆시사(시준)

柴糧시량(자량)

諡號시호(익호)

呻吟신음(신금)

辛辣신랄(신극)

迅速신속(빈속)

7.ㅇ

齷齪악착(악족)

斡旋알선(간선)

謁見알현(갈견)

軋轢알력(알락)

隘路애로(익로)

冶金야금(치금)

惹起야기(약기)

掠奪약탈(경탈)

濾過여과(로과)

役割역할(역활)

軟弱연약(나약)

厭惡염오(염악)

囹圄영어(영오)

領袖영수(영유)

嗚咽오열(오인)

誤謬오류(오륙)

惡寒오한(악한)

渦中와중(과중)

歪曲왜곡(부곡)

外艱외간(외난)

邀擊요격(격격)

要塞요새(요색)

樂水요수(낙수)

窯業요업(강업)

凹凸요철(요돌)

容喙용훼(용탁)

誘發유발(수발)

遊說유세(유설)

六月유월(육월)

吟味음미(금미)

凝結응결(의결)

義捐의연(의손)

罹炳이병(나병)

以降이강(이항)

移徙이사(이도)

弛緩이완(지환)

已往이왕(기왕)

罹患이환(나환)

溺死익사(약사)

一括일괄(일활)

一擲일척(일정)

一切일체(일절)

剩餘잉여(승여)

8.ㅈ

自矜자긍(자금)

孜孜자자(목목)

藉藉자자(적적)

綽綽작작(탁탁)

箴言잠언(함언)

沮止저지(조지)

塡充전충(전통)

傳播전파(전번)

截斷절단(재단)

接吻접문(접물)

正鵠정곡(정호)

靜謐정밀(정일)

稠密조밀(주밀)

造詣조예(조지)

措置조치(차치)

躊躇주저(수저)

駐箚주차(주탑)

蠢動준동(춘동)

浚渫준설(준첩)

櫛比즐비(절비)

憎惡증오(증악)

眞摯진지(진집)

桎梏질곡(지고)

叱責질책(칠책)

什物집물(십물)

斟酌짐작(심작)

執拗집요(집유)

9.ㅊ

茶禮차례(다례)

慙愧참괴(참귀)

斬新참신(점신)

懺悔참회(섬회)

暢達창달(양달)

漲溢창일(장익)

闡明천명(단명)

喘息천식(단식)

鐵槌철퇴(철추)

尖端첨단(대단)

貼付첩부(첨부)

諦念체념(제념)

忖度촌탁(촌도)

寵愛총애(용애)

撮影촬영(찰영)

追悼추도(추탁)

醜態추태(귀태)

秋毫추호(추모)

衷心충심(애심)

熾烈치열(식열)

沈沒침몰(심몰)

鍼術침술(함술)

蟄居칩거(집거)

10.ㅌ

度支탁지(도지)

拓本탁본(척본)

綻露탄로(정로)

彈劾탄핵(탄효)

耽溺탐닉(칩입)

攄得터득(여득)

慟哭통곡(동곡)

洞察통찰(동찰)

堆積퇴적(추적)

偸安투안(유안)

11.ㅍ

派遣파견(파유)

破綻파탄(파정)

跛行파행(피행)

稗官패관(피관)

覇權패권(파권)

敗北패배(패북)

膨脹팽창(팽장)

平坦평탄(평단)

閉塞폐색(폐한)

褒賞포상(보상)

暴惡포악(폭악)

捕捉포착(보촉)

輻輳폭주(복주)

漂渺표묘(표사)

標識표지(표식)

12.ㅎ

割引할인(활인)

陜川합천(협천)

肛門항문(홍문)

行列항렬(행렬)

降伏항복(강복)

降將항장(강장)

偕老해로(개로)

楷書해서(개서)

解弛해이(해야)

諧謔해학(개학)

享樂향락(형락)

絢爛현란(순란)

孑遺혈유(자유)

嫌惡혐오(겸악)

荊棘형극(형자)

好惡호오(호악)

忽然홀연(총연)

花卉화훼(화에)

滑走활주(골주)

豁達활달(곡달)

恍惚황홀(광홀)

灰燼회신(회진)

膾炙회자(회화)

劃數획수(화수)

橫暴횡포(횡폭)

嚆矢효시(고시)

嗅覺후각(취각)

麾下휘하(마하)

彙報휘보(과보)

恤兵휼병(혈병)

欣快흔쾌(근쾌)

恰似흡사(합사)

洽足흡족(합족)

薨去훙거(붕거)

詰難힐난(길난)

 

알아야 할 한자상식


1. 文房四友 [문방사우]

서재에 갖추어야 할 네 벗인 지(紙)·필(筆)·묵(墨)·연(硯), 곧 종이·붓·먹·벼루의 네 가지를 아울러 이르는 말.

2. 身言書判 [신언서판]

중국 당나라 때 관리를 등용하는 시험에서 인물평가의 기준으로 삼았던  기준.
즉, 몸[體貌]·말씨[言辯]·글씨[筆跡]·판단[文理]의 네 가지를 이르는 말.

3. 四君子 [사군자]

[품성이 군자와 같이 고결하다는 뜻으로] ‘매화·난초·국화·대나무’의 넷을 이르는 말.

4. 七去之惡 [칠거지악]

(지난날, 유교적 관념에서 이르던) 아내를 버릴 수 있는 이유가 되는 일곱 가지 경우.


1.시부모에게 불순한 경우 (不順舅姑去)

2. 자식을 낳지 못하는 경우 (無子去)
3.음탕한 경우 (淫去) 
4.질투하는 경우 (疾妬去)
5.나쁜 병이 있는 경우 (有惡疾去)
6.말이 많은 경우 (口多言去)
7.도둑질한 경우’를 이름 (竊盜去)


    삼불거(去),

 

1. 보내도 돌아가 의지할 곳이 없으면 내쫓지 못하고,

2. 함께 부모의 3년상을 치렀으면 내쫓지 못하며,

3. 전에 가난하였다가 뒤에 부자가 되었으면 내쫓지 못한다. 라고 하였다 

   ( ,

       , , )

 

5. 三不幸 [삼불행]

맹자가 말한 불행의 세 가지.

1. 蓄財(축재)에 전념하는 것
2. 자기 처자만 사랑하는 것
3. 부모에게 불효하는 것

三不惑 [삼불혹]
 
빠지지 말아야 할 세 가지.  술 · 여자 · 재물

6. 三不孝 [삼불효]

세 가지 불효.
1. 부모를 불의(不義)에 빠지게 하고,
2. 가난 속에 버려두며,
3. 자식이 없어 제사가 끊어지게 하는 일.

7. 三不朽 [삼불후]

세가지 썩어 없어지지 않는 것.
세운 德(덕), 이룬 功(공), 敎訓(교훈)이 될 훌륭한 말.

8. 三從之道 [삼종지도]

세가지 따라야 할 도리
1. 옛날 여자가 어려서는 아버지를 따르고
2. 시집을 가면 남편을 따르며
3. 남편이 죽으면 자식을 따르라는 말

9. 五常 [오상]

사람의 다섯가지 행실.
즉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

10. 五友 [오우]

다섯 종류의 절개 있는 식물. 선비가 벗삼을 만한 식물.
梅(매화)·蘭(난)·菊(국화)·竹(대나무)·蓮(연꽃).

11. 五淸 [오청]

다섯 가지의 깨끗한 사물. 선비들이 즐겨 그리는 것.
松(소나무)·竹(대나무)·梅(매화)·蘭(난)·石(돌).

12. 五行 [오행]

우주간에 쉬지 않고 운행하는 다섯가지 원리.
金(쇠)·木(나무)·水(물)·火(불)·土(흙). ◇

13. 益者三友 [익자삼우]

이로운 세가지 친구
정직한 사람, 진실한 사람, 학식이 많은 사람

14. 四端七情 [사단칠정]

사단은 《맹자(孟子)》의 〈공손추(公孫丑)〉 상편에 나오는 말로 불쌍히 여기는 마음 즉, 네 가지 도덕적 감정을 말한다.

惻隱之心 (측은지심) - 남을 불쌍하게 여기는 타고난 착한 마음을 이르는 말
羞惡之心 (수오지심) - 자기의 옳지 못함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옳지 못함을 미워하는 마음
辭讓之心 (사양지심) - 겸손하여 남에게 사양할 줄 아는 마음.
是非之心 (시비지심) - 옳음과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음.

그리고 칠정은 《예기(禮記)》의 〈예운(禮運)〉에 나오는 말로
기쁨[喜(희)]·노여움[怒(노)]·슬픔[哀(애)]·두려움[懼(구)]·사랑[愛(애)]·미움[惡(오)]·욕망[欲(욕)]의 일곱 가지 인간의 자연적 감정을 가리킨다.

15. 四書三經 [사서삼경]

유교(儒敎)의 기본 경전

四書(사서)는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을 말하며, 三經(삼경)은 《시경(詩經)》 《서경(書經)》 《주역(周易)》을 이른다.

16. 世俗五戒 [세속오계]

신라 진평왕 때 승려 원광(圓光)이 화랑에게 일러 준 다섯 가지 계율.

원광이 수(隋)나라에서 구법(求法)하고 귀국한 후, 화랑 귀산(貴山)과 추항(項)이 찾아가 일생을 두고 경계할 금언을 청하자, 원광이 이 오계를 주었다고 한다.  이는 뒤에 화랑도의 신조가 되어 화랑도가 크게 발전하고 삼국통일의 기초를 이룩하게 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事君以忠 (사군이충) - 임금은 충성으로써 섬겨야 한다는 계율
事親以孝 (사친이효) - 어버이를 효도로써 섬겨야 한다는 계율
交友以信 (교우이신) - 벗은 믿음으로써 사귀어야 한다는 계율
臨戰無退 (임전무퇴) - 전쟁에 임하여 물러나지 아니하여야 한다는 계율
殺生有擇 (살생유택) - 함부로 살생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계율

17. 十長生 [십장생]

장생 불사를 표상한 10가지 물상(物象)

해 ·산 ·물 ·돌 ·소나무 ·달 또는 구름 ·불로초 ·거북 ·학 ·사슴을 말하는데,
중국의 신선(神仙) 사상에서 유래한다.
10가지가 모두 장수물(長壽物)로 자연숭배의 대상이었으며, 원시신앙과도 일치하였다.
옛 사람들은 십장생을 시문(詩文) ·그림 ·조각 등에 많이 이용하였는데, 고구려 고분 벽화에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이 사상은 고구려시대부터 있은 듯하다.
고려시대에는 이색(李穡)의 《목은집(牧隱集)》으로 보아 십장생 풍이 유행한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설날에 십장생 그림을 궐내에 걸어놓는 풍습이 있었다.
이 후 항간에서도 십장생 그림을 벽과 창문에 그려 붙였고, 병풍 ·베갯머리, 혼례 때 신부의 수저주머니, 선비의 문방구 등에도 그리거나 수놓았다.

18. 三多三無 [삼다삼무] 三寶三麗 [삼보삼려]

제주도에는 돌, 여인, 바람이 많다. (三多)
제주도에는 거지, 대문, 도둑이 없다. (三無)
제주도에는 언어, 수중자원, 식물 (三寶三麗)

출처 : 한국전례원 - 韓國典禮院 - ( jeonyewon )
글쓴이 : 根熙 김창호 원글보기
메모 :

'한자(경조사) 바로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친족의 호칭  (0) 2014.10.03
잘못읽기쉬운 한자  (0) 2014.09.13
[스크랩] 儀禮따라 쓰게되는 生活用語  (0) 2014.03.06
영어를 제대로 도전하기  (0) 2014.01.09
慶弔事에 쓰는 글  (0) 2013.12.13
 
 
 儀禮따라 쓰게되는 生活用語



人生의 年輪이 지나가는 痕跡을 더듬어 볼 때 늘어가는 주름과 함께 부쳐지는 이름이 바뀌어짐을 알게 됩니다. 여기 出生, 年齡, 記念, 慶弔 等에 관련된 名 稱과 表現을 整理하여 보고자 합니다.

1. 나이를 나타내는 漢字
출생     弄璋之慶 : 璋은 구슬을 뜻하며 아들을 낳은 기쁨을 표시함. 
            弄瓦之慶 : 瓦는 실패를 뜻하며 딸을 낳은 기쁨을 표시함.

2세~

3세       提孩 : 提는 손으로 안다는 뜻,

                     孩는 어린 아이라는 뜻. 孩兒(해아)라고 쓰기도 함.
15세     志學 : 孔子가 15세에 學問에 뜻을 두었다는 데서 유래함. 
           六尺 : 三尺童子는 10세 전의 1미터가량을 나타내고 六尺은 15세를 표시.
16세     瓜年 : 瓜를 破字하면 八八이 되므로 16세의 여자를 나타냄.
20세     弱冠 : 冠을 쓴 어른이 되었지만 아직은 弱하다는 뜻. 남자를 표시함.
            芳年 : 꽃다운 나이의 뜻, 여자를 표시함.
30세     而立 : 孔子가 30세에 自立하였다는 데서 유래함.
           立志 : 뜻이 세워졌음.
40세     不惑 : 孔子가 40세에 모든 것에 迷惑되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함.
            强仕 : 『禮記』에 四十曰强而仕 즉 40세에 강하여 벼슬에 나아간다고 함.
48세     桑年 : 桑의 俗字는 十자 세개 밑에 木을 쓰는데

                      파자 하면 十자 4개에 八자가 됨.
50세     知命 : 孔子가 50세에 天命(인생의 뜻)을 알았다는 知天命을 줄임.
60세     耳順 : 孔子가 60세에는 모든 일을 순탄하고 화목하게 받아들인다고 함.
           六旬 : 旬은 元來 열흘을 나타내는데 60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육순을 씀.
61세     還甲, 還曆, 回甲이라 하는데 태어난 해의 干支로 돌아간다는 뜻이고

           華甲의 華를 파자하면 十자가 6번과 一자가 하나 나옴.
62세     進甲  : 새로운 甲子로 나아간다는 뜻.
64세     破瓜  : 瓜를 파자하면 八八이 되어 64세에 일에서 물러날 때를 나타냄.
66세     美壽  : 美는 바로 보나 거꾸로 보나 六十六임.
70세     從心  : 孔子가 70세가 되면 마음대로 행동하여도 도리에 어긋나지 않는다함.
           古稀  : 杜甫의 詩 曲江의 人生七十古來稀에서 유래됨.
71세    望八  : 팔십을 바라본다는 뜻.
77세    喜壽  : 喜자를 草書로 쓰면 七十七과 같기 때문임.
80세    傘壽  : 傘자의 略字가 八자 아래에 十자를 쓰는데서 유래됨.
81세    半壽  : 半자를 파자하면 八十一이 됨.
           望九 : 구십을 바라본다는 뜻, '할망구'라는 말의 어원이기도 함.
88세    米壽  : 米자를 파자하면 八十八이 됨. 또 쌀을 수확할 때까지

                     농부의 손이 88번 쓰인다는 데서 유래됨.
90세    卒壽  : 卒자의 俗字가 九자 밑에 十자를 쓰는 데서 유래됨.
           凍梨 : 凍자는 얼다, 梨자는 배이므로

                      90세에는 얼굴에 언 배와 같은 斑點이 생긴다는 뜻.
           九秩  : 아홉의 차례라는 뜻으로 90줄에 들게 됨을 표현함.
91세     望百  : 백세를 바라본다는 뜻.
99세     白壽  : 百에서 一을 빼면 白이 되므로 산술적 표현임.
100세   上壽   : 세자리 수로 바뀌어 위로 올랐다는 뜻.
120세    天壽  : 하늘이 준 壽命을 다 누렸다는 뜻.

2. 婚姻 記念 行事의 名稱


혼인후의 經過 年數에 따라 기념 행사를 다음과 같이 부릅니다.
1年 紙婚式
2年 藁婚式 藁는 짚을 나타냄.
3年 草婚式
5年 木婚式
7年 花婚式
10年 朱錫婚式 주석은 놋쇠를 나타냄.
12年 皮婚式
15年 水晶婚式 또는 銅婚式
20年 陶器婚式
25年 銀婚式
30年 眞珠婚式
35年 珊瑚婚式
40年 毛織婚式
45年 紅玉婚式
50年 金婚式
60年 回婚禮
75年 金剛婚式

3. 誕生石
出生한 달에 該當하는 寶石으로 스스로 裝飾品을 만들어 着用하거나 膳物을 고를 때 받는 사람의 生月에 따른 탄생석으로 하면 印象的인 記念品이 될 수 있습니다.(보석 이름 다음에 그의 象徵性을 敷衍하였음)

1月  石榴石 가넷 ; 사랑 眞實 貞操
2月  紫水晶 ; 誠實 平和
3月  아쿠아머린 ; 沈着 聰明 勇敢
4月  金剛石 ; 사랑 幸福
5月  綠玉 에메랄드 ; 幸運 幸福
6月  眞珠 ; 權威 健康
7月  紅玉 루비 ; 永遠 熱情
8月  橄欖石 페리도트 ; 智慧 幸福
9月  靑玉 사파이어 ; 慈愛 誠實 德望
10月 蛋白石 오팔 ; 사랑 眞實
11月 黃玉 토파즈 ; 友情 忍耐 潔白
12月 터키石 ; 幸運 成功 繁榮

4. 慶弔相問의 禮節
慶祝과 弔問의 行事에 알맞은 禮節을 갖추기 위한 表現을 羅列한 것입니다.

婚姻 : 祝 婚姻, 慶賀婚姻, 祝 盛婚, 祝儀.
還甲 : 祝 壽筵, 祝 回甲, 祝 壽宴, 慶儀.
祝賀 : 祝 合格, 祝 入學, 祝 卒業, 祝 發展, 祝 優勝
歲時 : 略禮, 歲饌, 薄禮, 歲儀.(새 해를 맞아 인사드릴 때)
謝禮 : 略禮, 薄謝, 薄禮, 菲品.
喪家 : 賻儀, 弔儀, 謹弔, 奠儀.
大小祥 : 菲禮, 薄儀, 略禮, 菲品.

출처 : 한국전례원 - 韓國典禮院 - ( jeonyewon )
글쓴이 : 根熙 김창호 원글보기
메모 :

'한자(경조사) 바로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못읽기쉬운 한자  (0) 2014.09.13
[스크랩] 알아야 할 한자상식  (0) 2014.03.06
영어를 제대로 도전하기  (0) 2014.01.09
慶弔事에 쓰는 글  (0) 2013.12.13
한자 바로쓰가  (0) 2013.08.28



클릭〓> ▒ 새해 - 영어를 제대로 도전하기 ▒

 

한국전례 원 (韓國典禮院)慶弔事에 쓰는 글

 

※세는 나이 봉투에 쓰는 인사말

60세-------축육순연 (祝六旬宴)

61세-------축수연 (祝壽宴)

62세-------축수연 (祝壽宴)-----(祝進甲)

70세-------축수연 (祝壽宴)----(祝古稀)

77세-------축수연 (祝壽宴)----(祝喜壽)

80세-------축수연 (祝壽宴)----(祝八旬)-축산수(祝傘壽)

88세-------축수연 (祝壽宴)----(祝米壽)

90세-------축수연 (祝壽宴)----(祝九旬)

99세-------축수연 (祝壽宴)----(祝白壽)

100세------축수연 (祝壽宴)----(祝百壽)

108세------축수연 (祝壽宴)----(祝茶壽)

125세------축천수 (祝天壽)

 

 

상가때 쓰는 말

•조의-(弔儀)--부의-(賻儀)-근조(謹弔)

 

 

※환자병문안 때 쓰는 말

•쾌유를 기원합니다-(快癒를 祈願 합니다,

•기축쾌유(祈祝 快癒)

 

 

▣ 경조사 이름 * 봉투 쓰기 ▣

회갑 回甲 : 61세 되는해 (환갑 還甲)

진갑 進甲 : 회갑 다음해 (진갑進甲)

칠순 七旬 : 70세 되는해 (고희古稀)

희수 稀壽 : 77세 되는해 (희수稀壽.喜壽)

팔순 八旬 : 80세 되는해 (산수傘壽)

미수 米壽 : 88세 되는해 (미수연米壽宴)

백수 白壽 : 99세 되는해 (백수白壽)

60세 이후의 생일잔치는 모두 (壽筵)이라 함

더욱 건강하시고 오래 사시기를 기원한다는 뜻.

약혼. 결혼. 결혼기념일 結婚記念日

*********************************

축 약혼 * 祝 約婚

축 결혼 * 祝 結婚

축 화혼 * 祝 華婚

1주년 - 지혼식(祗婚式)

2주년 - 고혼식(藁婚式)

3주년 - 과혼식(菓婚式)

4주년 - 혁혼식(革婚式)

5주년 - 목혼식(木婚式)

7주년 - 화혼식(花婚式)

10주년- 석혼식(錫婚式)

12주년- 마혼식(麻婚式)

15주년- 동혼식(銅婚式, 또는 水晶婚式)

20주년- 도혼식(陶婚式, 陶磁器婚式)

25주년- 은혼식(銀婚式)

30주년- 진주혼식(眞珠婚式)

35주년- 산호혼식(珊湖婚式)

40주년- 녹옥혼식(綠玉婚式, 에머랄드혼식)

45주년- 홍옥혼식(紅玉婚式, 루비혼식)

50주년- 금혼식(金婚式)

55주년- 금강석혼식(金剛石婚式, 다이아몬드혼식)

60주년- 회혼식(回婚式)

75주년- 금강혼식(金剛婚式)

회혼례(祝回婚禮) 결혼 60주기를 맞은 부부가

자손들앞에서 혼례복을 입고 60년 전과같은

혼례식을 올리면서

(해로 60년)을 기념하는 의례식 입니다.

경조문.. 수례서식

*****************

결혼 * 結婚

하하의 * 賀賀儀

축성혼 * 祝聖婚

축화혼 * 祝華婚

축성전 * 祝盛典

축결혼 * 祝結婚

회갑 * 回甲

***********

수하의 * 壽賀儀

축수연 * 祝壽宴

축희연 * 祝禧筵

축회갑 * 祝回甲

축환갑 * 祝環甲

축주갑 * 祝周甲

축화갑 * 祝華甲

축화갑 * 祝花甲

나이에 따라

************

70세→ 축고희 * 祝古稀

77세→ 축희수 * 祝稀壽

77세→ 축희수 * 祝喜壽

80세→ 축산수 * 祝傘壽

88세→ 축미수 * 祝米壽

99세→ 축백수 * 祝白壽

년령 * 칭호

************

15세→ 지학志學, 성동成童

20세→ 약관 弱冠

30세→ 입년立年

32세→ 이모년二毛年

40세→ 불혹不惑

50세→ 지천명知天命

50세 이상 60세 이하→ 망육. 望六

61세→ 華甲, 回甲, 週甲, 周甲, 甲年

70세→ 古稀, 稀壽, 七秩,

77세→ 喜壽

80세→ 八秩

88세→ 米壽

100세→ 百壽, 期年

出産 順産 誕生 誕辰

********************

축 순산 * 祝 順産

축 탄생 * 祝 誕生

축 공주탄생 * 祝 公主誕生

축 왕자탄생 * 祝 王子誕生

축 탄신 * 祝誕辰

환자 병 문안

************

기쾌유 * 祈快癒

기완쾌 * 祈完快

快癒를 * 祈願합니다

빠른 * 快癒

상가 * 喪家, 追悼日, 忌祭祀, 慰靈祭

************************************

조의 * 弔儀

조의 * 弔意

부의 * 賻儀

근조 * 謹弔

전의 * 奠儀

애도 * 哀悼

추모 * 追慕

추도 * 追悼

근도 * 謹悼

명복 * 冥福

향촉대 * 香燭代

초상표시 初喪表示

*****************

기중 * 忌中

상중 * 喪中

죽은 사람 * 亡人

죽은 사람 * 亡者

죽은 사람 * 故人

죽은 아들 * 亡子

대소상 * 大小喪

***************

향전 * 香奠

전의 * 奠儀

비의 * 菲儀

비품 * 菲品

追悼日, 忌祭祀, 慰靈祭

***********************

추도 * 追悼

추모 * 追慕

경모 * 敬慕

애모 * 哀慕

근도 * 謹悼

昇進 就任 榮轉 祝賀

*******************

축 승진 * 祝 昇進

축 영전 * 祝 榮轉

축 영진 * 祝 榮進

축 선임 * 祝 選任

축 중임 * 祝 重任

축 취임 * 祝 就任

축 연임 * 祝 連任

開業 移轉 創立紀念

*******************

축 발전 * 祝 發展

축 개업 * 祝 開業

축 번영 * 祝 繁榮

축 성업 * 祝 盛業

축 개장 * 祝 開場

축 개점 * 祝 開店

축 이전 * 祝 移轉

축 창립○○주년 * 祝 創立○○周年

競選 當選 競演 競技

*******************

축 필승 祝 必勝

축 건승 祝 健勝

축 당선 祝 當選

축 입선 祝 入選

축 합격 祝 合格

축 피선 祝 被選

축 우승 祝 優勝

축 완승 祝 完勝

축 개선 祝 凱旋

入學 卒業 合格 學位取得 退任

축 입학 * 祝 入學

축 졸업 * 祝 卒業

축 합격 * 祝 合格

축 개교 * 祝 開校

祝○○學位取得

祝停年退任

頌功

入住 入宅, 開業, 建物 工場 竣工

*******************************

祝 起工

祝 上樑

祝 完工

祝 竣工

祝 開通

祝 入宅

祝 入住

家和萬事成

福流成海

개업 등

********

祝 開院

祝 開園

祝 開館

祝 除幕式

祝 萬事亨通

展示會 演奏會 發表會 演劇

*************************

祝 展示會

祝 展覽會

祝 博覽會

祝 個人展

祝 演奏會

祝 獨奏會

祝 獨唱會

祝 合唱會

祝 發表會

祝 公演

出版 出刊 出刊紀念

******************

祝 創刊

祝 出刊

祝 出版

祝 出版紀念

祝 創刊 00周年

사례 * 謝禮

***********

박사 * 薄謝

약례 * 略禮

박례 * 薄禮

송별 送別

**********

전 별 * 餞 別

전별금 * 餞別金

송 별 * 送 別

장도 * 長途 → 오랜여로, 먼길

장도 * 壯途 → 중요한 사명을 띠고 씩씩하게

떠나는 길

도서 기증 * 圖書畵寄贈

************************

윗분에게 * 圖書 冊 선물 할때

혜존 * 惠存

소람 * 笑覽

청람 * 淸覽

윗분에게 * 書畵 선물 할때

배증 * 拜贈

봉헌 * 奉獻

배정 * 拜呈

근정 * 謹呈

새해 신년(新年) 인사

********************

신희 * 新禧

근하 신년 * 謹賀 新年

공하 신년 * 恭賀 新年

추석 秋夕

*********

중추절 * 仲秋節

중추가절 * 仲秋佳節

군인 * 軍人

***********

祝 * 進級

祝 * 健勝

祝 * 當選

祝 * 被選

武 * 運長久

祝 * 凱旋

종교.교회.宗敎 敎會

祝 獻堂

祝 長老將立

祝 勸士就任

祝 牧師按手

祝 靈名祝日

 

알아야 할 한자상식


1. 文房四友 [문방사우]

서재에 갖추어야 할 네 벗인 지(紙)·필(筆)·묵(墨)·연(硯), 곧 종이·붓·먹·벼루의 네 가지를 아울러 이르는 말.

2. 身言書判 [신언서판]

중국 당나라 때 관리를 등용하는 시험에서 인물평가의 기준으로 삼았던 기준.
즉, 몸[體貌]·말씨[言辯]·글씨[筆跡]·판단[文理]의 네 가지를 이르는 말.

3. 四君子 [사군자]

[품성이 군자와 같이 고결하다는 뜻으로] ‘매화·난초·국화·대나무’의 넷을 이르는 말.

4. 七去之惡 [칠거지악]

(지난날, 유교적 관념에서 이르던) 아내를 버릴 수 있는 이유가 되는 일곱 가지 경우.

1.시부모에게 불순한 경우
2. 자식을 낳지 못하는 경우
3.음탕한 경우
4.질투하는 경우
5.나쁜 병이 있는 경우
6.말이 많은 경우
7.도둑질한 경우’를 이름.

5. 三不幸 [삼불행]

맹자가 말한 불행의 세 가지.

1. 蓄財(축재)에 전념하는 것
2. 자기 처자만 사랑하는 것
3. 부모에게 불효하는 것

三不惑 [삼불혹]

빠지지 말아야 할 세 가지. 술 · 여자 · 재물

6. 三不孝 [삼불효]

세 가지 불효.
1. 부모를 불의(不義)에 빠지게 하고,
2. 가난 속에 버려두며,
3. 자식이 없어 제사가 끊어지게 하는 일.

7. 三不朽 [삼불후]

세가지 썩어 없어지지 않는 것.
세운 德(덕), 이룬 功(공), 敎訓(교훈)이 될 훌륭한 말.

8. 三從之道 [삼종지도]

세가지 따라야 할 도리
1. 옛날 여자가 어려서는 아버지를 따르고
2. 시집을 가면 남편을 따르며
3. 남편이 죽으면 자식을 따르라는 말

9. 五常 [오상]

사람의 다섯가지 행실.
즉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

10. 五友 [오우]

다섯 종류의 절개 있는 식물. 선비가 벗삼을 만한 식물.
梅(매화)·蘭(난)·菊(국화)·竹(대나무)·蓮(연꽃).

11. 五淸 [오청]

다섯 가지의 깨끗한 사물. 선비들이 즐겨 그리는 것.
松(소나무)·竹(대나무)·梅(매화)·蘭(난)·石(돌).

12. 五行 [오행]

우주간에 쉬지 않고 운행하는 다섯가지 원리.
金(쇠)·木(나무)·水(물)·火(불)·土(흙). ◇

13. 益者三友 [익자삼우]

이로운 세가지 친구
정직한 사람, 진실한 사람, 학식이 많은 사람

14. 四端七情 [사단칠정]

사단은 《맹자(孟子)》의 〈공손추(公孫丑)〉 상편에 나오는 말로 불쌍히 여기는 마음 즉, 네 가지 도덕적 감정을 말한다.

惻隱之心 (측은지심) - 남을 불쌍하게 여기는 타고난 착한 마음을 이르는 말
羞惡之心 (수오지심) - 자기의 옳지 못함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옳지 못함을 미워하는 마음
辭讓之心 (사양지심) - 겸손하여 남에게 사양할 줄 아는 마음.
是非之心 (시비지심) - 옳음과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음.

그리고 칠정은 《예기(禮記)》의 〈예운(禮運)〉에 나오는 말로
기쁨[喜(희)]·노여움[怒(노)]·슬픔[哀(애)]·두려움[懼(구)]·사랑[愛(애)]·미움[惡(오)]·욕망[欲(욕)]의 일곱 가지 인간의 자연적 감정을 가리킨다.

15. 四書三經 [사서삼경]

유교(儒敎)의 기본 경전

四書(사서)는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을 말하며, 三經(삼경)은 《시경(詩經)》 《서경(書經)》 《주역(周易)》을 이른다.

16. 世俗五戒 [세속오계]

신라 진평왕 때 승려 원광(圓光)이 화랑에게 일러 준 다섯 가지 계율.

원광이 수(隋)나라에서 구법(求法)하고 귀국한 후, 화랑 귀산(貴山)과 추항(項)이 찾아가 일생을 두고 경계할 금언을 청하자, 원광이 이 오계를 주었다고 한다. 이는 뒤에 화랑도의 신조가 되어 화랑도가 크게 발전하고 삼국통일의 기초를 이룩하게 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事君以忠 (사군이충) - 임금은 충성으로써 섬겨야 한다는 계율
事親以孝 (사친이효) - 어버이를 효도로써 섬겨야 한다는 계율
交友以信 (교우이신) - 벗은 믿음으로써 사귀어야 한다는 계율
臨戰無退 (임전무퇴) - 전쟁에 임하여 물러나지 아니하여야 한다는 계율
殺生有擇 (살생유택) - 함부로 살생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계율

17. 十長生 [십장생]

장생 불사를 표상한 10가지 물상(物象)

해 ·산 ·물 ·돌 ·소나무 ·달 또는 구름 ·불로초 ·거북 ·학 ·사슴을 말하는데,
중국의 신선(神仙) 사상에서 유래한다.
10가지가 모두 장수물(長壽物)로 자연숭배의 대상이었으며, 원시신앙과도 일치하였다.
옛 사람들은 십장생을 시문(詩文) ·그림 ·조각 등에 많이 이용하였는데, 고구려 고분 벽화에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이 사상은 고구려시대부터 있은 듯하다.
고려시대에는 이색(李穡)의 《목은집(牧隱集)》으로 보아 십장생 풍이 유행한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설날에 십장생 그림을 궐내에 걸어놓는 풍습이 있었다.
이 후 항간에서도 십장생 그림을 벽과 창문에 그려 붙였고, 병풍 ·베갯머리, 혼례 때 신부의 수저주머니, 선비의 문방구 등에도 그리거나 수놓았다.

18. 三多三無 [삼다삼무] 三寶三麗 [삼보삼려]

제주도에는 돌, 여인, 바람이 많다. (三多)
제주도에는 거지, 대문, 도둑이 없다. (三無)
제주도에는 언어, 수중자원, 식물 (三寶三麗)

착각 하기 쉬운 漢字 表記 

한글 표기

맞는 표기

틀린 표기

설 명

가정부

家政婦

家庭婦

家庭: 사회집단, 家政: 집안 살림을 다스림

각기

各其

各己

각기 저마다 개별적인 개념

강의

講義

講議

뜻을 풀어서 가르친다는 의미

경품

景品

競品

상품 이외에 곁들여 주는 물건

골자

骨子

骨字

일이나 말의 요긴한 줄거리

교사

校舍

敎舍

학교의 건물 / [동음어]敎師, 敎唆

기적

奇蹟

奇跡

사람이 불가능 한 신기한 일/ 跡은 발자취

납부금

納付金

納附金

세금 등을 관청에 내는 일 / 付는 주다

녹음기

錄音器

錄音機

예외적 적용 / 器는 무동력, 機는 동력

농기계

農機械

農器械

농사에 쓰여지는 동력 기계

농기구

農器具

農機具

농업에 사용되는 모든 기계나 도구의 총칭

대기발령

待機發令

待期發令

待機는 공무원의 대명(待命) 처분

망중한

忙中閑

忘中閑

바쁜 가운데 한가함 / 忘은 잊다

매매

賣買

買賣

관용적 순서/晝夜(주야),風雨(풍우) 등

목사

牧師

牧士

인도하는 교역자의 의미

반경

半徑

半經

반지름. 徑은 지름길, 經은 날줄, 다스리다

변명

辨明

辯明

사리를 분별하여 똑바로 밝힘. 辯:말잘하다

변증법

辨證法

辯證法

개념을 분석하여 사리를 연구하는 법

보도

報道

報導

발생한 일을 알려서 말함. 導는 인도하다

부녀자

婦女子

婦女者

婦人과 女子

부록

附錄

付錄

한글 표기

맞는 표기

틀린 표기

설 명

사법부

司法府

司法部

국가의 三權分立상의 하나

상여금

賞與金

償與金

노력에 대해 상금으로 주는 돈. 償은 보상

서재

書齋

書齊

책을 보관하고 글 읽는 방. 齊는 가지런하다

서전

緖戰

序戰

발단이 되는 싸움

선회

旋回

旋廻

둘레를 빙빙 돎. 항공기의 방향을 바꿈

숙직

宿直

宿職

잠을 자면서 맡아 지키는 일. 直: 번을 돌다

십계명

十誡命

十戒命

기독교의 계율은 '誡'를 사용

세속오계

世俗五戒

世俗五誡

불교의 계율은 '戒'를 사용

어시장

魚市場

漁市場

어물을 파는 시장. 漁는 고기잡다

여부

與否

如否

그러하냐? 그렇지 않냐?

역전승

逆轉勝

逆戰勝

형세가 뒤바뀌어 이김

왜소

矮小

倭小

키가 낮고 작음. / 倭는 왜국{일본}

이사

移徙

移徒

집을 옮김. 徙(사)와 徒(도: 무리) 자형 유의

일률적

一律的

一率的

한결같이 / 率는 거느리다(솔), 비율(률)

일확천금

一攫千金

一穫千金

한 움큼에 천금을 얻음. 穫은 거두다

입찰

入札

立札

예정 가격을 써내어 경쟁하는 방법

재판

裁判

栽判

裁는 마름질하다. 栽는 심다

절기

節氣

節期

기후(氣候)를 나눈 개념[節侯(절후)]

정찰제

正札制

定札制

정당한 물건값을 적은 나무나 종이

중개인

仲介人

中介人

두 당사자 사이에서 일을 주선함

추세

趨勢

推勢

나아가는 형편. 趨는 달리다. 推는 옮기다

침투

浸透

侵透

젖어 들어감. 스며들어감. 侵은 침략하다

퇴폐

頹廢

退廢

무너져 쇠하여 결딴남. 退는 물러나다

출처:너에게 편지를

 

Click!단장의 망향62년(페허의 동토)

Click!하늘에서본 대한민국 바다

Click!바다 밑(속) 세계

황혼의

Click! 중국 잡기단(선남선녀의 묘기)

Click! 프랑스의 지중해 해안

 Click! 2012런던올림픽 응원가 코리아

출처 : ♡ 황혼의 낙원 ♡
글쓴이 : 철마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